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자격 혜택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지원금 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전년에 비해서 6.42% 인상되었습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월 16.4만원, 4인 가구의 경우 36.8만원 인상되었습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 소득의 중간값'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및 정부부터 사업 선정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025년에 중위소득이 오르면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도 변경이 되었습니다.

Ⅰ. 기초생활수급자는 생계급여 / 의료급여 / 주거급여 / 교육급여 4가지 급여 수급가능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은 크게 4가지로 나뉩니다. 생계 / 의료 / 주거 / 교육급로 이 중 가장 혜택이 큰 급여는 생계급여입니다. 보통 기초생활수급이라고 하면 생계급여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게 가장 혜택이 크기 때문입니다.
수급자 자격
①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재산+소득을 환산한 금액)
② 자녀 (자녀의 배우자 포함)
소득은 폐지 됐으나, 고소득이면 불가능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은 소득인정액이 각 급여별로 중위소득 하위 이내여야되고, 더불어 자녀가 고소득이 아니어야 합니다. 과거에는 부양의무자 (자녀)의 소득도 같이 봤었는데, 부양의무자 소득 조건은 폐지됐으며, 연봉 1억 3천만원 이내면 됩니다. (그 이상이면 못 받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럼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Ⅱ. 소득인정액 기준
우선 "중위소득" 이라는 걸 먼저 아셔야 하는데,
기초생활수급을 받기 위해서는 각 급여별로 중위소득의 기준을 충족해야 됩니다. 가장 타이트한게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고 그 다음이 의료급여 (40%), 주거급여 (48%), 교육급여 (50%) 입니다. 생계급여 기준은 중위소득 32%로 4인가구 기준 195만원 이내여야 수급이 가능합니다.
지원금은 생계급여 기준에서
내 소득인정액을 뺀 금액만큼 지원된다.
1. 생계급여 지원금
기준 금액에서 내 소득인정액을 뺀 만큼 현금으로 줍니다. 예를들어 4인가족이라면, 195만원 (중위소득 32%)에서 본인의 소득을 뺀 만큼 지원 된다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 아예 소득인정액이 없을 경우 최대 지원금인 월 195만원의 기초생활수급자 지원금을 받는 겁니다.
생계급여는 기준 중위소득에서 가구별 생계급여 최저보장수준에서 소득인정액을 제외한 금액을 받습니다. 4인 가구 기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최대 기존 183만원에서 195만원으로 12만원 인상됩니다. 연 환산 144만원 수준입니다.
예를들어 4인가족이 있는데, 그 가족의 소득인정액이 100만원일 경우 받게되는 지원금은 951,287원입니다. 4인가족의 중위소득 32%인 195만원이 받을 수 있는 최대금액이고, 거기서 해당 가구의 소득인정액인 100만원을 뺀 95만원을 받게 되는 겁니다.
그 밖의 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은 주거급여 / 교육급여 / 의료급여 등이 있습니다.
2. 주거급여
연 1회 지원비가 나오는데, 초등학생은 487,000원 / 중학생은 679,000원 / 고등학생은 768,000원의 바우처가 나옵니다(현금처럼 사용 가능)
Ⅵ. 기초생활수급자 그 외 혜택

그리고 그 밖의 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은 수십가지가 넘습니다 상하수도 요금 감면, 전기세 감면, 냉난방비 지원 등등의 수십가지 혜택이 있습니다.
단순 소득이 아니라 재산+소득을 합쳐서 월 소득으로 환산함
참고로 수급자 자격의 기준은 단순 월 소득이 아니라 재산도 소득으로 환산해서 봅니다.
소득인정액은 소득과 재산을 환산해서 소득으로 보기 때문에 단순히 소득 자체만 적다고 되는게 아닙니다. 그리고 부양의무자인 자녀의 소득도 봅니다.
여기서 말하는 부양의무자의 범위는 아들, 딸은 물론이고 사위나 며느리도 포함되는데요. 만약 딸의 소득이 연봉 7천만원이고, 사위가 7천만원이면 합산 1.4억원으로 생계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다행히 자녀 전체의 소득의 합은 아닙니다.
만약 첫째 자녀의 연봉 3천만원이고, 둘째 자녀의 연봉 1.2억원이면 각각 조건에 충족 (1억 3천만원 이하)하므로 대상이 됩니다. 또 한번 강조하지만, 이건 국가에서 알아서 떠 먹여주는 게 아닙니다.
본인이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에 부합하신다면, 본인이 직접 주민센터 가서 신청하셔야 한다는걸 아셔야 합니다. 아무리 자격 조건을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신청하지 않으면 혜택은 없겠죠? 꼭!! 혜택을 다 놓치니 꼭 신청하세요
Ⅴ. 변경된 기초생활수급자 조건
1. 2025년 중위소득은 작년 대비 6.42% 인상되어 더 많은 사람이 기초생활수급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재산의 소득환산액의 기준이 되는 자동차 재산 적용 기준이 완화됩니다. 자동차 재산은 원칙적으로 가액의 100%를 소득에 산정합니다.
다만, 예외적으로 배기량 1,600cc, 가액 200만원 미만의 자동차에 한해서는 가액의 4.17%만 소득에 산정하고 있는데요. 올해부터는 예외 기준이 배기량 2,000cc, 가액 500만원까지로 확대됐습니다.
3. 생계급여 부양의무자 기준도 완화됐습니다. 기존에는 부양의무자가 소득 1억 초과 또는 일반 재산 9억 이상일 경우 기초생활수급자 조건을 충족하지 못했습니다. 2025년부터는 해당 기준을 소득 1억 3천만원 초과, 일반 재산 13억 이상까지 허용됩니다.
4. 노인 대상 근로·사업소득 추가 공제가 커집니다. 2024년에는 일반 수급자 근로·사업소득의 30%를 소득공제하고, 특히 75세 이상 노인에 대해서는 20만원을 추가로 공제했습니다. 2025년부터는 65세 이상 노인부터 20만원 추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종합증명서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 수수료
부동산종합증명서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 수수료
부동산종합증명서의 경우 주민센터에서 발급이 안된다는걸 알고 계신가요? 이는 구청, 등기소 등을 이용해 발급 받아야 하는데요. 쉽게 인터넷으로 부동사종합증명서와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
cash.chosun-person.com
신용등급 점수표 내 신용등급 확인 올리는 방법 나이스 올크레딧
신용등급 점수표 내 신용등급 확인 올리는 방법 나이스 올크레딧
여러분의 신용등급은 어떠신가요? 과거에는 신용등급을 1등급 ~ 9등급으로 나눠서 등급분류를 했지만, 지금은 점수표에 의해 점수로 분류 되고 있죠?우리나라의 경우 등급을 책정하는 가장 공
cash.chosun-person.com
카카오택시 개인 티머니 택시 분실물 찾는 방법
카카오택시 개인 티머니 택시 분실물 찾는 방법
혹시 여러분은 택시에 핸드폰이나 지갑 등 물건을 두고 내리신적이 한두번은 있으시죠? 이럴때는 정말....... 그래서 오늘은 택시에 물건을 두고 내렸을때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
cash.chosun-person.com
미스터트롯3 다시보기 재방송시간 투표 방청 신청 방법 참가자 출연진
미스터트롯3 다시보기 재방송시간 투표 방청 신청 방법 참가자 출연진
미스터트롯3는 대한민국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의 대표주자로 자리잡은 '미스터트롯' 시리즈의 미스터트롯3가 9개월만에 돌아왔습니다. 남자편으로 2년만인데요. MC는 김성주와 장윤정, 붐 3인
cash.chosun-person.com
'조선페이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 손주 아이돌봄비 수당 신청 지급 기준 금액 (1) | 2025.02.03 |
---|---|
2025년 경기도 손주 아이 돌봄수당 신청 지급 기준 금액 (0) | 2025.02.03 |
부동산종합증명서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 수수료 (0) | 2025.01.24 |
음주운전 벌금 기준 분할납부 감면 방법 처벌기준 (0) | 2025.01.24 |
신용등급 점수표 내 신용등급 확인 올리는 방법 나이스 올크레딧 (1) | 202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