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한도 조건 및 공제율 모의계산기
25년 귀속 연말정산 (24년도 소득) 부터 월세 세액공제 한도가 1천만원으로 늘었습니다.
오피셜 국세청 발표자료를 기반으로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에 대해 아주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목차
📌2025년 홈택스 ⛔미리 확인하기↯↯
24년 1월 1일 이후 납부한 월세는 공제 한도가 1천만원으로 상향됐습니다. (기존에는 750만원)
공제율
5% 또는 17%
공제한도
1천만원
월세 세액공제 공제율은 연봉에 따라 달라집니다.
- 총급여 5,500만원 초과 : 15%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 17%
총급여 (연봉) 기준 5,500만원 이하면 17%, 5,500만원 초과시에는 15% 입니다.
총급여 5,500만원 이하 기준, 월세 30만원이면 연간 납부액이 360만원이고, 월세 공제율 17%를 곱하면 총 돌려받는 세액공제 금액은 612,000원으로 계산됩니다.
매월 80만원씩 낸다면 1년간 총 960만원이고, 공제율 17%를 곱하면 총 돌려받는 세액공제 금액은 1,632,000원이죠. 그런데 한도가 1천만원이므로 연간 납부한 월세가 1천만원을 초과하면 최대 170만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거의 두 달치 월세를 돌려받는 셈이니 조건에 맞다면 꼭! 월세공제 받아야겠죠?
※ 여기서 말하는 월세는 관리비를 제외한 순수 월세를 말합니다.
공제 조건은 간단!! 단, 몇가지 주의사항
월세 세액공제 조건은 세가지입니다. 주택조건 & 소득조건 & 무주택 조건입니다.
- 전용면적 85제곱 또는 기준시가 4억 이하
- 총급여 8천만원 이하
- 무주택자 (세대원 포함)
월세 살고 있는 주택이 소위 국평이라고 말하는 30평형 아파트 (전용면적 84제곱) 이하이거나 또는 기준시가 4억이하이면 됩니다. 둘 중 하나의 조건만 충족해도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준시가는 kb시세)
그리고 총 급여 8천만원 이하여야 하며, 무주택자여야 합니다.
꼭 세대주가 아니라 세대원도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세대주가 안받는 다는 조건하에)
주민등록표상 부모님과 같은세대로 되어 있는데 부모님이 주택을 소유 하고있다면 공제가 불가능 합니다.
만약 따로 거주한다면 (월세집으로 주민등록 이전을 해서 따로 주민등록표가 구성된 경우) 당연히 공제가 가능하구요
그 외 조건
① 계약자가 본인일 것
(예외 인정 됨)
② 주민등록 = 계약서 일치
(필수조건!!)
③ 계좌이체 본인이름
(필수조건!!)
연말정산 월세공제 추가 조건
위 3가지 월세 공제 조건에 부합한다고 하더라도 위 3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월세 세액공제가 가능합니다.
- 계약자가 본인일것
- 주민등록주소=계약서 일치
- 본인 이름으로 계좌이체 할 것
먼저 원칙적으로 계약자가 본인이어야 합니다.
📌2025년 국세청 ⛔체크리스트 확인하기↯↯

다만, 배우자나 부모님이 대산 계약서를 작성한 경우에도 공제가 가능한데, 이 때에는 기본공제대상자여야 합니다. 인적공제 조건에 부합해야 되는거죠. 나이 / 소득요건을 만족해야 됩니다. 단순히 부모님이나 배우자가 대신 계약해줬다고 다 공제되는 게 아닙니다.만약 사회초년생이라서 부모님이 대신 계약해주셨는데, 부모님이 소득이 있으셔서 따로 연말정산을 하시거나, 아직 나이조건 (만60세)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다면 부모님이 대신 계약한 경우 월세공제를 못 받습니다.
그리고 반드시 주민등록상 전입신고를 한 곳과 월세 계약서상의 주소가 일치해야 됩니다. 둘이 다르면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이런 월세 공제 조건을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계좌이체는 반드시 공제받는 본인이 해야 됩니다. 그리고 이체 받는 대상은 계약서상 도장을 찍은 집 주인이어야 되는데 만약 합의하에 임대인 가족 (집주인 가족)에게 이체했다면 집주인에게 이에 대한 소명을 받아야 됩니다 (양식은 없음)
위 월세 공제 조건을 충족하신다면 연간 납부한 월세에 대해 1천만원 한도 내에서 소득에 따라 15% 또는 17% 공제율을 적용받아 세액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월세현금영수증 소득공제 발급방법
월세 현금영수증 발급으로 소득공제도 가능하다. 우선 발급방법은 홈택스에서 상담·불복·제보 메뉴에 들어가서 현금영수증·신용카드 미발급/발급거부로 들어간 다음 주택임차료(월세)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으로 들어간다.
다음 페이지로 넘어간 후 주택임차료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 메뉴로 들어간다.
월세 세액공제 경우 연말정산 시 신청이 가능하며 주택월세는 현금영수증 소득공제와 월세 세액공제를 중복으로 받을 수 없다는 점 참고해야 되며 현금영수증 발급 경우 최근 3년 이내의 거래만 신청이 가능.
월세 세액공제 현금영수증 발급 화면으로 넘어오면 임대인번호 및 계약내용들에 있는 내용들을 입력하면 됩니다.
해당 첨부서류에는 계좌별 거래명세서 및 임대차 계약서 , 주민등록 등본 등을 삽입하면 됩니다.
이사시에는?
월세 세액공제를 받을 때 이사한 경우, 이사 전과 후의 월세 모두에 대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즉, 연도 중에 이사를 했더라도 이사 전 주소지에서 낸 월세와 이사 후 주소지에서 낸 월세를 합산하여 공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다음의 요건들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① 두 주택 모두 월세 세액공제 대상 주택이어야 합니다.
즉,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85㎡ 이하, 비수도권 읍면지역 100㎡ 이하) 또는 기준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주거용 오피스텔, 고시원 포함)이어야 합니다.
② 이사 전 주택과 이사 후 주택 각각에 대해 임대차계약서와 주민등록표등본상 주소가 일치해야 합니다.
즉, 두 주택 모두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③ 근로자 본인이 무주택 세대의 세대주 또는 세대원 (세대주가 주택 관련 공제를 받지 않는 경우)이어야 하며, 총급여액이 8,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금액 7,000만 원 이하) 여야 합니다.
이 조건은 연도 중 변동이 없어야 합니다. 즉, 이사 전후로 계속 무주택 세대 구성원 및 소득 요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적용 방법
- 이사 전과 후의 월세 지급 증빙 서류(계좌이체 영수증, 무통장입금증 등)를 모두 준비합니다.
- 이사 전 주택과 이사 후 주택 각각에 대한 임대차계약서 사본을 준비합니다.
- 주민등록표등본 또는 초본(주소 변동 내역 포함)을 준비하여 이사 사실을 증명합니다.
- 연말정산 시 회사에 위 서류들을 제출하여 월세 세액공제를 신청합니다.
요약하자면, 이사 전후 모든 주택이 월세 세액공제 대상 주택이고, 필요한 서류를 모두 갖추고 있다면, 연도 중 이사를 했더라도 이사 전과 후의 월세를 모두 합산하여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꿀팁
- 근로소득이 없는 사업자는 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 -배우자 등 기본공제 대상자가 월세 계약을 한 경우에도 공제 가능합니다.
- 월세액 세액공제는 임대인의 동의가 필요 없습니다.
- 과거 6년 치 월세까지 경정청구 가능합니다.
월세 세액공제, 생각보다 혜택이 크죠? 조건에 해당된다면 꼭 신청해서 알뜰살뜰 챙기시길 바랍니다.
설 명절 지원금 신청 방법 설날 명절 위로금 대상 지역별 정리
설 명절 지원금 신청 방법 설날 명절 위로금 대상 지역별 정리
2025년 설 명절지원금 위로금 정부24 확인 신청방법2025년 이제 곧 설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이번 설 연휴가 길어졌죠?이번1월27일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되면서 설 연휴가 길어졌습니다.그래서
cash.chosun-person.com
압류방지 통장 만드는 방법 발급대상
압류방지 통장 만드는 방법 발급대상
압류방지통장은 압류 위협이 있는 상황에서도 기본적인 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자금을 보호받을 수 있도록 설계된 특별한 계좌입니다. 최근에는 이 통장이 ‘행복지킴이 통장’으로 통합되어
cash.chosun-person.com
2025년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방법 인적공제 소득공제 기준
2025년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방법 인적공제 소득공제 기준
이제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면서 많은 분들이 준비하고 계신텐데요. 오늘은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부양가족을 연말정산에 등록하려면 정확한 개념과
cash.chosun-person.com
'조선페이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주운전 벌금 기준 분할납부 감면 방법 처벌기준 (0) | 2025.01.24 |
---|---|
신용등급 점수표 내 신용등급 확인 올리는 방법 나이스 올크레딧 (1) | 2025.01.20 |
2025년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방법 인적공제 소득공제 기준 (0) | 2024.12.29 |
전입신고 인터넷 신고 정부24 이사후 전입신고 세대주확인 (2) | 2024.12.23 |
실손청구 간소화 실손24 앱 사용방법 홈페이지 참여병원 (0) | 2024.12.23 |
댓글